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립대구박물관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곳 국립대구박물관

삼국시대

국립대구박물관의 고대문화실을 안내합니다.

국립대구박물관 고대문화실은 대구·경북지역에서 지금까지 출토된 선사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의 유물과 유적을 소개하는 전시실입니다.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고 당시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도록 선사시대인 구석기·신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까지 <돌石, 흙土, 나무木, 청동靑銅, 쇠鐵, 금金, 옥玉>과 같이 재질별로 나뉘어 전시하였습니다.

삼국시대의 대구, 경북

삼국시대 문화실 이미지 01
삼국시대 문화실 이미지 02
삼국시대 문화실 이미지 03
삼국시대 문화실 이미지 04
삼국시대 문화실 이미지 05
00 00

전시내용

삼국시대 대구·경북지역은 신라와 가야가 서로 경쟁하며 발전했습니다. 고대문화실에서는 화려하게 꽃 핀 삼국시대 고대 문화를 효과적으로 이해하고자 쇠, 황금, 옥과 직물, 토기, 고대 복식으로 분류하여 전시했습니다.

고대 국가 발전기에는 영토 전쟁이 치열해지면서 나라 사이에 싸움이 잦았습니다. 대구와 고령 두 지역의 고분군 내에서는 국가 간 갈등을 보여주는 여러 종류의 철제무기들이 확인됩니다. 대표 방어무기인 갑옷과 투구 그리고 공격 무기인 칼과 창, 화살 등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습니다.

삼국시대에는 금속 가공기술이 발달하면서 금과 은을 이용한 꾸미개가 화려해집니다. 대표 꾸미개는 관과 관 꾸미개, 귀걸이, 목걸이, 허리띠, 팔찌, 반지, 신발 등이 있습니다. 대구·경북지역 주요 고분에서 출토되는 꾸미개는 서로 비슷한 모양의 것들이 많습니다.

무덤 주인공의 머리에는 나뭇가지 형태의 금동관이나 새 날개 모양의 관 꾸미개를 썼습니다. 귀에는 굵고 가는 고리가 드리워진 귀걸이를 하고, 목과 가슴에는 옥과 유리로 만든 목걸이를 걸었습니다. 허리에는 허리띠와 띠꾸미개 등 의복을 치장하는 여러 장신구와 함께 세 개의 고리나 잎 모양으로 장식한 큰 칼을 착용하였습니다.

낙동강 동쪽에 위치한 대구지역 고분에서는 신라 수도인 경주에서 만들었거나 엇갈리게 뚫은 굽구멍透窓을 지닌 굽다리 접시가 사용됩니다. 양쪽에 귀가 달린 항아리도 이 지역의 독특한 토기입니다. 반면, 낙동강 서쪽에 위치한 대가야 고분에서는 다양한 높낮이의 그릇 받침과 물결무늬가 새겨진 긴 목 항아리가 쓰였습니다.

대표전시품

안장장식

안장장식

1. 안장장식
삼국시대의 안장은 일반적으로 말을 타는 사람이 앉는 좌목(座目)과 좌목 앞·뒤에 부착되는 가리개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좌목과 안장가리개는 대체로 나무로 만들었기 때문에 삭아서 없어지고 안장가리개를 장식했던 금속으로 제작된 안장꾸미개만 출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장식대도

장식대도

2. 장식대도
삼국시대 무덤의 대표적 껴묻거리로는 고리자루큰칼이 있다. 고리자루큰칼은 무덤 주인공의 허리 부분에서 출토되는 경우가 많은데, 실용품도 있지만 대부분 장식품으로서 성격이 강하다.

금동관

금동관

3. 금동관
넓은 관테에 3개의 세움장식을 금동못으로 고정시켜 부착한 점이 특징이다. 3개의 세움장식 가운데 전면의 세움장식은 똑바로 서있지만, 양 측면의 세움장식은 뒤쪽으로 조금 휘어진 형태로 만들었다. 세움장식은 가장자리를 얇게 오려낸 다음 일일이 꼬아서 새의 깃털모양처럼 만들었다,

신라토기의 발전양식

신라토기의 발전양식

4. 신라토기의 발전양식
대구와 고령지역은 무덤에 넣는 토기 모양이 다양하다. 낙동강 동쪽에 위치한 대구지역 고분에서는 신라 수도인 경주에서 만들었거나 엇갈리게 뚫은 굽구멍을 지닌 굽다리 접시가 사용된다. 양쪽에 귀가 달린 항아리도 이 지역의 독특한 토기이다.

공공누리의 제 1유형 마크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대구박물관 대표 전시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가능)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