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권 보호분야 대구박물관 대표 전시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가능)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
대구, 경북 지역의 불교문화와 유교문화를 소개하는 전시실입니다. 불교문화는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시대양식을 대표하고 조형미가 우수한 불교조각품과 불교공예품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유교문화는 대구, 경북지역의 사원을 중심으로 사원에서 서원으로 옮겨가는 시대적 전환과 영남학파의 활동을 관련 자료를 통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유교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궁극의 목표인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강조한 ‘수신’, ‘제가’, ‘치국’을 전시개념에 도입하여 조선시대 사회 전반에 걸친 유교문화의 일면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불상(佛像)은 불교교리에 의한 예배의 대상을 시각적인 조형매체로 표현한 것입니다. 넓게는 부처(佛)(여래(如來))는 물론 보살(菩薩), 나한(羅漢), 신장(神將) 등을 모두 포함하며, 좁게는 부처(佛)의 상만에 해당됩니다.
삼국 중 불교 수용이 가장 늦은 신라에서는 7세기에 이르러 수도 경주를 중심으로 조상 활동이 성행하였습니다. 반면 불교문화의 수입창구이자 신라불교의 보급 통로인 경북 북부지역은 일찍부터 불교문화가 성행하였습니다. 영주, 봉화, 안동, 군위, 구미 등의 여러 지역에 삼국시대 금동불과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마애불과 석불이 남아 있습니다. 이는 경북지역에서 이른 시기부터 활발한 조상활동이 있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자료라 할 수 있습니다.
부처의 시신을 화장(火葬)한 후 남은 뼈를 사리(舍利)라 하며, 이 사리를 안치한 무덤을 탑塔이라 합니다. 사리는 금·은·동·철·돌·유리·수정 등 여러 재질의 용기에 겹겹이 넣어져, 불상·구슬·장신구 등의 공양물과 함께 탑에 안치합니다. 대구, 경북 불교문화의 특징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석탑 속에서 발견된 갖가지 사리갖춤(舍利莊嚴具)으로 대표되는 불교 공예품을 통해 또 다른 면모를 엿볼 수 있습니다. 칠곡 송림사 오층전탑과 김천 길항사 터 삼층석탑,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등에서 발견된 사리함과 녹색 유리로 만든 사리용기, 그리고 사리와 함께 봉안된 각종 공양품들은 당시 통일신라 불교문화의 축소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불교공예품은 불교 의식과 신앙생활에 사용하였던 것으로, 쓰임새에 따라 의식구(儀式具), 공양구(供養具), 장엄구(莊嚴具)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의식구는 불교의식에 사용하는 도구로 종(鍾), 쇠북(金鼓), 운판(雲板), 목어(木魚) 등 소리를 이용하여 사람들을 모으고 교화하는데 쓰였던 범음구(梵音具)와 바라, 목탁(木鐸), 요령(搖鈴), 금강저(金剛杵) 등이 있습니다. 부처님께 공양을 올릴 때 사용하는 공양구로는 정병, 향로, 꽃병, 촛대, 발우(鉢盂) 등이 있습니다. 부처의 정토세계를 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엄구는 종류가 가장 다양합니다. 사찰의 전각을 장식하는 번(幡), 당(幢), 불단(佛壇), 닫집(天蓋)을 비롯하여 사리봉안을 위한 사리갖춤이 있으며, 넓게는 사찰건축에 쓰였던 기와와 전돌 등도 포함됩니다.
저작권 보호분야 대구박물관 대표 전시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가능)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