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국립대구박물관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곳 국립대구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의 복식문화실을 안내합니다.

섬유복식 산업을 바탕으로 근대도시로 성장한 대구의 지역 특성을 살려 우리네 삶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옷의 역사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물과 자료를 통해 설명하고자 마련한 전시실입니다. 실, 옷감짜기, 색채, 옷이라는 4개의 키워드를 통해 실이 만들어져서 직물이 짜여 지고 옷이 되는 과정과 우리 전통 색과 다양한 디자인을 통해 우리 옷의 아름다움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근대도시로 성장한 대구

복식문화실(아시아) 이미지 01
00 00

전시내용

아시아의 염색기법과 무늬는 각 지역의 자연환경과 풍토, 민족성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지닙니다. 특히 중국과 태국의 소수민족은 옷감 전체를 물들이는 단순한 기법을 넘어 밀랍을 바르거나 실을 묶어 염료가 스며드는 차이를 이용하여 무늬를 표현하는 고급 기술이 발달하였습니다.

대표 전시품

염직물

염직물

침구용으로 제작된 인염직물이다. 작은 꽃과 정사각형의 무늬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피륙의 전면을 채우고 있으며 가장자리는 넝쿨모양의 띠가 둘러져 있다. 인도에서는 고대부터 꽃과 생명수, 새와 나비 등의 문양이 염색된 직물이 사용되어 왔다. 오늘날 친츠라 부르는 이 직물은 오랫동안 천연 염료를 이용한 매염제 날염과 수화 납방염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17세기 말부터는 손으로 그리는 방법 대신 목판에 프린팅하는 인염법이 고안되어 보다 손쉽고 신속하게 문양직물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인염이란 목판에 색을 입혀 나무매로 두들겨 찍어내어 천에 색을 입히는 방식으로, 색이 추가될 때마다 다른 목판을 사용하는 염색법이다. 인염의 경제성 때문에 최근에도 전통 문양이 담긴 직물이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캇 숄 (힌기)

이캇 숄

인도네시아 숨바섬에서 사용된 이카트 힌기이다. 이카트는 실을 먼저 염색한 후 직조하는 선염법으로, 실을 염색할 때 직조 후 문양이 된 부분은 염료가 스미지 못하도록 묶어 방염하여 무늬를 낸다. 염료의 침투성 차이나 제직할 때의 실이 움직임 때문에 직조 후에는 문양이 아련하게 번진 듯이 보이는 것이 이 염색법의 특징이다. 어렵고 까다로운 기법 때문에 이카트는 주로 상류층을 위해 제작되었다. 힌기는 인도네시아 남선들이 어꺠와 허리에 두르는 숄 형태 의복으로, 직물의 수평축을 대칭으로 계급을 상징하는 인물이나 동물문양이 있는 이카트 직물을 사용한다. 이 옷 역시 성수와 기마인물 및 동물모양이 대칭으로 표현되었다. 네 개의 다리를 가진 신성한 동물문양이 표현된 이카트 직물은 특히 숨바섬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다.

사리

사리

능형의 꽃무늬가 있는 이카트 직물로 만든 사리이다. 사리는 고대에 기원하여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는 인도의 대표적인 전통 여성복으로, 길고 폭이 넓은 천을 상반신과 하반신 전체에 둘러서 착용한다. 계급과 종교를 막론하고 인도 전 지역에서 착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의복인 만큼, 연인들은 여러 가지 방식을 사용하여 맵시를 낸다. 과거에는 종족이나 신분, 지위 등에 따라 직물의 종류와 색상, 문양 등이 엄격히 제한되었으나, 오늘날에는 전통보다는 유행을 따르고 있다. 특별한 날에는 평소보다 더욱 넓고 화려한 선장식이 있는 것을 착용한다.

전시내용

‘전통복식’ 또는 ‘민속복식’은 서로 다른 자연환경 속에서 문화 혹은 민족을 바탕으로 싹 트고 자란 고유한 옷과 장신구를 뜻합니다. 그러나 제국주의 정책과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유럽식 복식이 세계의 보편적인 복식으로 자리하였습니다.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전통 복식은 일부 예복으로만 남고 일상에서 사라지고 있습니다. 비록 겉모양이 사라져도 무늬 및 색채와 같은 고유한 특징은 이어지며, 조합과 창조적 발상으로 현대화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대표 전시품

우치카케

우치카케

먀오족 여성의 복식

먀오족 여성의 복식

은화관

은화관

묘족의 머리 장신구 중 머리에 쓰는 형태의 은 수식품으로는 은관과 은모가 있다. 이 두 가지는 모양이 흡사하여 구분하기 어려운 것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은각이라 하여 위로 솟은 뿔모양의 장식이 달리지 않은 것을 은모라 본다. 은모는 지역에 따라 양식과 조형이 매우 다양하다. 이 은모는 레이산 지역의 주민이 즐겨 착용하는 장식용 모자이다. 레이산의 은모는 일반 모자와 같은 모양이며, 동물과 화초 장식이 둘레에 장식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모자를 쓰고 움직이면 모자 정수리의 얇은 은화가 흔들리도록 되어 있으며, 모자 가장자리의 은유해는 양쪽 눈썹을 덮는다.

공공누리의 제 1유형 마크 - 출처표시

저작권 보호분야 대구박물관 대표 전시품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 조건(공공누리 1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가능)에 따라 이용할수 있습니다.